커뮤니티 룸/Jin's words 16

독서 # 6ㅣ지성이 사라진 사회에서 독서는 독이다.

독서 # 6ㅣ지성이 사라진 사회에서 독서는 독이다.   돈과 외모를 추구하다 임계점을 넘은 현 대한민국에서 보통 사람으로 살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독서는 인생의 돌파구가 될 수 없다. 나는 지금까지 독서라는 그 행위가 우리 인생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했다. 그리고 책을 대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으니 얼마든지 영화나 드라마로 보충이 가능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 모든 건 다 생각을 하기 위함이다. 독서나 영상은 모두 인간이 생각을 할 재료를 모으는 행위일 뿐 인생 자체를 바꾸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직접 일어나는 경험 말고는 없다.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말이다.  하지만 생각은 공교롭게도 주변인들이 필요하다. 생각이라는 것은 서로 주고받아야 지속되고, 확장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

독서 # 5ㅣ인성이 사라진 사회에 인생을 바꾸는 책은 교과서다

독서 # 5ㅣ인성이 사라진 사회에 인생을 바꾸는 책은 교과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이걸 인지하고 사는 사람이 모여 사는 사회여야 독서라는 것이 의미 있다. 허나 지금 사회는 이걸 부정하고 사는 사회다.  ㅣ한진 택배 남해 21날 택배가 설연휴로 인해서 늦어진다고 양해를 부탁한다고 문자가 왔다. 남해는 택배가 밤 10시 넘어서도 온다. 다음날 아침 택배를 확인해 보니 스텝대디 회사에서 설 선물 택배는 있는데, 내가 주문한 다이소 택배는 오지 않았다. 배송 완료문자도 오지 않아서 또 며칠 있다고 오려나보다 싶었다. 23일 오후, 택배가 여태 오지 않아 4시가 조금 넘어서 남해 한진 택배 기사에게 연락했다. 자신은 택배를 이미 보냈다고 하는 것이다. 인터넷으로 확인해 보니 택배 도착 ..

독서 # 4ㅣ책보다 생각을 공유할 주변인이 필요하다

독서 # 4ㅣ책보다 생각을 공유할 주변인이 필요하다 이제 인간을 싫어하고 혐오하게 된 시대에 과연 책이 돌파구를 마련해 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나는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꼭 독서가 아닌 영상으로도 얼마든지 대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 했다. 그래도 굳이 우리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생각의 도구로써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영상으로 다 담을 수 없는 방대한 콘텐츠들이 있으며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들에게는 영상보다 뇌를 훨씬 잘 사용할 수 있기에 뇌 건강에도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재료로 얻게 되더라도 주변 사람들과 대화로 공유하지 못하면 생각이라는 것이 생겨나지 않는다. 설사 생겨나더라도 금방 사그라드는 불씨에 불과하다. 그리고 책도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만 읽으면 ..

독서 # 3ㅣ책을 읽는 다는 것은 저자와 대화를 한다는 뜻이다

독서 # 3ㅣ책을 읽는다는 것은 저자와 대화를 한다는 뜻이다  좋은 책을 읽는 것이 과거의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과 같다.- 르네 데카르트 -  알츠하이머 기준으로는 독서를 함에 있어서 생각이 중요하다고 했다. 뇌를 국소적으로 사용하지 말고 전반적으로 사용해야 알츠하이머 예방에 의미가 있기에 그렇다. 그리고 생각은 꼭 독서로만 되는 것은 아니기에 얼마든지 영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의사들이 할머니 할아버지들에게 치매 예방으로 화투를 하는 것도 좋다고 한 것과 같은 원리다. 그래야 농사일로 쓰는 머리 말고 뇌의 다른 부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들 독서가 세상에서 가장 유용한 생각의 도구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그래서 책은 매일 운동을 하듯이 읽는 것이 좋다. 하루 10분이라도 말이다..

독서 #2ㅣ독서의 효과는 비판적 사고에서 나온다

독서 # 2ㅣ독서의 효과는 비판적 사고에서 나온다  이제는 독서와 책을 읽는다는 개념을 분리시켜야 할 시대에 온 거 같다. 칼과 검이 같지만 다른 의미로 사용하듯 말이다.   앞에서 나는 이지영 강사가 말하는 근거로는 책을 읽을 이유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니체가 얘기했듯 우리 삶은 나를 알아가는 여정이기에 이지영 강사말대로 내 삶의 주체가 되어 살아가는 것은 평생의 숙제다. 그렇기에 10대 때 책을 아주 많이 읽었다고 한들 20대부터 내 삶의 주체로 살아가게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미래를 그리는 일도 우리의 삶의 터전이 도시라면 그것도 대도시라면 더 직접 경험으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말이다. 하지만 그래도 책은 지속적으로 읽어야 한다. 그 이유는 바로 치매의 한 종..

독서 # 1ㅣ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부터 틀렸다

독서 # 1ㅣ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부터 틀렸다 보통 사람들의 독서법은 거창한 이유가 필요 없다. 그리고 거창하지 않아야 생활이 된다. 우선 아래 영상부터 보자. https://www.youtube.com/shorts/u20w7Y9-_L0 나는 그래도 책은 읽어야 한다는 주의지만 이지영 강사가 독서를 해야 한다고 하는 근거에는 반대다. 이유가 너무 거창하다. 우리는 독서를 성인군자가 되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다. 독서는 그냥 내가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좀 더 윤택하기 위함 정도가 딱 맞다고 본다. 이제부터 이지영 강사가 독서를 해야 한다는 두 가지 근거로 독서를 하면 안 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내가 나의 주인이 되고, 내가 뭘 원하고, 뭘 향하는지를 중심을 잡고 살아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건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