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생활 341

동물농장ㅣ조지 오웰

동물농장ㅣ조지 오웰 도정일 옮김ㅣ민음사 page 11 우리는 왜 계속 이 비참한 조건 속에서 살아야 하는 겁니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우리가 노동해서 생산한 것을 인간들이 몽땅 도둑질해 가기 때문입니다. 동무들, 우리 문제에 대한 해답은 바로 거기 있소. 한마디로 문제의 핵심은 '인간'이오. 인간은 우리의 진정한 적이자 유일한 적입니다. page 14 인간과 동물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번영이 곧 다른 쪽의 번영이기도 하다 따위의 말을 인간들이 하더라도 그 말을 믿지 마시오. 그건 모두 거짓말이오. 인간은 인간 말고는 그 어떤 동물의 이익에도 봉사하지 않습니다. page 45 유일하게 좋은 인간은 죽은 인간이오. page 58 "용감한 것만으론 충분치 않아요." 스퀄러가 말을 계속했다. ..

1984ㅣ조지 오웰

1984ㅣ조지 오웰 정화성 옮김ㅣ민음사 page 27 인간은 때에 따라서 의식적으로 증오의 대상을 바꿀 수 있다. page 42 윈스턴은 과연 자신이 무엇을 위해서 일기를 쓰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다. 미래를 위해서? 과거 위해서? 아니면 가상의 시대를 위해선가? 그의 앞에는 죽음이 아니라 무(無)가 있을 뿐이다. page 52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한다.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 이것이 당의 슬로건이다. page 66 오길비 동지라고 최근 전선에서 영웅적인 활동을 하다가 전사한 사람이었다. 빅 브라더는 일일 명령을 통해서, 초라한 신분의 하급 당원이면서도 본받을 만한 일생을 살다가 죽은 동지들의 명복을 빌어 주어야 한다고 역설하곤 했다. 윈스턴은 오늘 오길비 동지의 명복..

정의란 무엇인가ㅣ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ㅣ김선욱 감수ㅣ김명철 옮김ㅣ와이즈베리   page 23가격폭리방지법에 대한 찬반 주장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복지, 자유, 미덕이라는 세 가지 항목에 각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복지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지,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 더 중요한지, 아니면 미덕을 추구하는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한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정의를 각기 서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   page 27아리스토텔레스는 우선 어떤 삶의 방식이 바람직한 것인지 심사숙고하지 않고서는 무엇이 정의로운 법인지 알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이란 좋은 삶을 묻는 질문에 중립적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page 28이처럼 고대의 정의론은 미덕에서 출발하는 반면, 근대의 정의론은 ..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리사 팰드먼 배럿ㅣ변지영 옮김ㅣ정재승 감수ㅣ더 퀘스트 page 08 뇌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도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것만도 아니며, '양육이 필요한 본성'을 가진 기관이라는 것도 중요한 발견이다. page 09 인간이 '인간'인 이유는 우리만의 거대한 대뇌피질을 가져서가 아니라 보편적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뇌 구조가 전체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우리 뇌 안에는 파충류의 본성이나 포유류의 본성을 담당하는 원시 뇌는 없다는 사실을 이제 많은 독자가 상식으로 받아들이면 좋겠다. page 11뇌가 생각을 위한 기관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에너지(신체예산)를 적절히 배분하고 조정하는 기관이라는 주장도 서를 연구하는 그의 관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 page 11 리사 펠드먼 배..

인사이드 아웃 2

인사이드 아웃 2 극장에서 봐야 할 의외의 이유  '인사이드 아웃 1'을 보는 데 걸린 시간이 아마 1년 정도 될 거다. 솔직히 끌리지도 않았고 막상 보려고 하면 10분 안에 지루한 느낌이 들어서 금방 끄게 되었다. 그렇게 부분으로 억지로 본 세월이 1년이 걸렸다. 하지만 끝까지 보고 나서의 느낌은 보길 잘했다. 인간의 감정에 대한 설명을 이미지로 너무 잘 그려낸 거 같아 어른들이 스스로를 이해하거나 아니면 자녀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두 번 보게 되지는 않는다. 아마 나의 삶과 직결된 내용과 감정의 표현이 아니고 한국스러운 면도 극히 드물기 때문이었을 거다.그리고 내 나이에 인간의 감정을 이런 애니메이션으로 보고 공부한다는 것보다는 책을 보는 것이 더 낫다는 결..

구별짓기ㅣ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구별짓기ㅣ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피에르 부르디외(1979년)ㅣ최종철ㅣ새물결 대중을 위한 책이라기보다는 학자나 학자를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서 추천하지 않는다. 프랑스 책들이 다들 그렇다고 하던데 내용을 애써 어렵게 표현한 점이 읽기에 불편함이 있다. 거기에 보충 설명을 너무 많이 하다보디 괄호안에 있는 내용은 그냥 넘어가고 쭉 읽어가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나는 주석도 읽지 않았다. 그거 다 읽으면 내용의 흐름을 놓치기 때문에 더 방해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下권은 한동안 읽을 생각이 없다. 다른 책으로 해장을 한 후 생각을 해보고 결정을 할 것이다. page 24'안목'은 역사의 산물로, 교육에 의해 재생산된다. page 26다시 말해 자연을 모방하는 예술로부터 예술을 모..